목록분류 전체보기 (37)
Younghun Go

가상화를 공부하면서 개념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쉽지 않다는 걸 느낀다. 그래서 이렇게나마 정리를 해둬야 기억하기 편할 것 같다. 아래 글은 Red Hat의 블로그와 Virtio 논문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. Virtio는 Virtual I/O의 약자로, 반가상화 I/O를 지원하기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이다. 그 중에서 Virtio-net은 가상 이더넷 카드를 말한다. Virtio의 구성 요소 KVM KVM(Kernel based Virtual Machine)은 Linux가 기존의 OS 역할뿐만 아니라 하이퍼바이저의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. 즉 Linux는 Guest라는 독립된 공간을 만들어주고, 이 공간에서 가상 머신이 동작한다. Guest는 Linux 입장에서 하나의 프로세스다. 리눅스가 하이퍼바이저 역..
http://www.quickfixlinux.com/linux/mouse-cursor-pointer-on-guest-vm-is-not-working-properly/ Mouse cursor pointer on guest VM is not working properly – Quickfixlinux www.quickfixlinux.com virt-manager에서 VM의 하드웨어 추가하면 잘 된다.
일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VM에 접속할 수 있어야한다. 필자는 gnome GUI 환경에서 virt-manager로 VM에 접속했다.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 수행해보자 systemctl enable serial-getty@ttyS0.service systemctl start serial-getty@ttyS0.service VM을 Reboot하고 host에서 virsh console [vm 이름] 수행해보면 잘 수행된다.

가상화를 공부하면서 새로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. 이 글에서 Guest와 가상 머신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. 하이퍼바이저 Xen, KVM, QEMU가 자주 사용되고 언급되는 하이퍼바이저다. 하이퍼바이저는 Guest-OS에게 실제 물리 장치를 스케줄링하는 소프트웨어이다. 하이퍼바이저는 Type1과 Type2로 분류된다. 아래 그림처럼 TYPE1은 TYPE2와는 다르게 HARDWARE 바로 윗 단에 HYPERVISOR가 있지만, TYPE2는 HARDWARE와 HYPERVISOR 사이에 Host-OS가 중개 역할을 한다. 어느 타입이 성능이 더 좋을까? 결론부터 말하면 TYPE1이 더 성능이 좋다. HYPERVISOR가 HARDWARE에 바로 접근하기 때문이다. Type2는 윈도우 OS 위에서 v..
대학원생이 하는 일 크게 3가지 1. 개인 연구 2. 프로젝트 연구 3. 연구실 업무(조교) 석사는 보통 연구직으로 취업을 한다. 개발직으로 가는 일은 적은 것 같다. 연구직을 생각하면 왠지 모르게 딱딱하게 느껴진다. 그나마 개발은 좀 더 자유로워 보인다. 네카라쿠배라는걸 처음 들었는데 네이버, 카카오, 라인, 쿠팡, 배달의 민족의 축약이라고 한다. ㅋ 네카라쿠배당토 까지 있는데 당근마켓, 토스의 추가 버전이다. 무튼 자유롭고 수평적인 문화를 선호하는 편이라, 개발이 더 나에게 맞는 것 같긴 하다.3학년이 되니까 슬슬 압박감이 오기 시작한다. 이력서에 쓸 말이 하나도 없다. 포트폴리오도.. 진짜 이젠 준비해야겠다 흙흙
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12기에 지원했다. 프로그래머스에서 광고를 보고 가벼운 마음으로 지원했다. 지원 서류를 작성해야했는데, 쓸 말이 너무 없었다. 아래는 12기 서류 질문이다. [자기소개1] 소프트웨어 분야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 남들과 달리 특별한 노력을 한 경험을 서술해 주시기 바랍니다. (최소 400자, 최대 3,000자 입력가능) [자기소개2] 귀하의 장래희망을 서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 (최소 400자, 최대 3,000자 입력가능) [연수계획1] 귀하께서는 2021년도 「SW마에스트로」 연수과정에서 동료 연수생들과 협력하여 새로운 프로젝트를 완성하여야 합니다. 어떠한 능력을 갖춘 연수생들과 어떠한 프로젝트를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 귀하의 구체적인 계획을 서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 (최소 400자,..